토쟁이 solution

최근 윈도우즈 10이 레드클리프 3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윈도우즈 내장 백신인 Windows defender 설정 창 UI가 달라졌다.

처음에 어떻게 해야지 실시간 보호를 끄는지 정말 맨땅에 헤딩을 20분정도하고, 다른 사람들도 어려울것 같아서 포스팅을 별도로 한다.

1. 우선 우측 하단에 Windows Defender의 설정을 켜자.

 

2. 다음으로 Windows Defender 보안 센터 창에서 좌측 하단의 톱니바퀴를 클릭하자

 

 

3. 그 다음 중앙부에 있는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을 클릭하자.

 

 

4. 그러면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탭이 열리고, 실시간 보호 설정 버튼이 나타난다. 여기서 실시간 보호를 “끔”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5. 정상적으로 보호가 꺼졌다면, “실시간 보호가 꺼져 있어 디바이스가 공격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가 나타난다.

 

 

6. 또한 알림창이 추가적으로 뜬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정품 인증  (0) 2017.11.01

** 본문에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 

1. 들어가면서


 윈도우 7, 8을 거처 벌써 윈도우 10을 사용한지 꽤 되었다.

 1~2년전 노트북을 구매하면서 윈도우 10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때 처음으로 복돌이를 벗어나게 되었다.

 사실 학생이라 구매할 여력이 없었거니와, 조금의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사용하기는 했지만 정품 윈도우를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사소한 문제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 익숙해져서 윈도우 10은 어떻게 인증하는지 조차 모르고 있었다.

 바로 어제 지인의 부탁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서 이 내용을 반드시 써야할 것 같아 글을 남긴다.

2. 정품 인증 확인하기


 

 

 우선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자신의 컴퓨터가 이미 인증 완료된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 불필요하게 두번 할 필요는 없으니까..
내 컴퓨터 -> 시스템 속성 -> 컴퓨터에 대한 기본 정보창 하단 확인
1. 내 컴퓨터 -> 시스템 속성 클릭

 

2. Windows 정품 인증란 확인하기.
 
 만약 이미 인증을 받은 상태면, 인증이 풀릴 때까지 별다른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3. 실시간 보호 끄기

잠깐, 아래의 윈도우즈 디펜더 설정창이 다르다면 이 포스트를 봐주세요.

(*최신 윈도우즈 10버전은 디펜더 설정이 다릅니다. 실시간 보호 기능 종료를 위해서는 위의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크랙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백신을 꺼야한다. 그 이유는 아래의 단락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 윈도우 10을 설치하고난 직후 일테니, 윈도우 10 자체 백신을 아래와 같이 멈춰야 한다.
 화면 하단의 작업 표시줄 우측에 보이는 화살표를 클릭하면, 격자 무늬의 방패가 나타난다.
3. 상단 화살표 클릭 -> 방패 모양 우클릭 -> 열기 클릭

 이 방패 모양을 우클릭하여 열기를 눌러 준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우측 상단 톱니 바퀴 모양을 클릭하여 설정 페이지를 켜면 된다.

4. 우측 상단 설정 클릭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정 페이지가 열리는데 여기서 실시간 보호 으로 변경 한다.

5. 실시간 보호 끔
 
 정상적으로 윈도우 백신의 실시간 보호기능이 정지되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과 함께, 백신 설정 페이지가 빨간색으로 변경된다.

 

실시간 보호가 정지되면 발생되는 알림
 
 
실시간 보호가 꺼지면 빨간색으로 변경된다.

잠깐,  윈도우즈 디펜더 설정창이 다르다면 이 포스트를 봐주세요.

(*최신 윈도우즈 10버전은 디펜더 설정이 다릅니다. 실시간 보호 기능 종료를 위해서는 위의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정품 인증 툴 다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 툴은 “KMSAuto Net” 으로 보인다.

모든 인증 툴 (이하 크랙)이 그러하듯, 백신에서 바이러스로 검출된다. 이는 정품키를 위조하는 Keygen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또한 크랙을 만들어 내는 집단에서 실제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를 넣어 악성 코드를 심기도 한다.
 
 아무튼 이 크랙을 설치해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 사용자에 있다. 

  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게 되면 아래와 같이 폴더가 생긴다.
이 폴더에서 “KMSAuto Net.exe“를 실행하자.

 실행하고 나면, KMS Auto Net 프로그램과 Readme가 켜지는데, Readme는 종료해도 좋다.
여기서 Activation 클릭하면 버튼이 두가지로 다시 나타나는데,  Activate Windows를 클릭하면, 아래의 파란창에서 글이 나타나면서 조금 뒤 인증 완료가 출력된다.


5. 정품 인증 확인


 

  정상적으로 인증이 완료되었다면, 단락 2에서 언급한 내컴퓨터 -> 시스템 속성 -> Windows 정품 인증란에 인증 여부를 확인하자.
 또한 실시간 보호를 다시 복구하여 주고, 인증툴 삭제와 백신을 이용하여 시스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잠깐, 윈도우즈 디펜더 설정창이 다르다면 이 포스트를 봐주세요.

(*최신 윈도우즈 10버전은 디펜더 설정이 다릅니다. 실시간 보호 기능 종료를 위해서는 위의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윈도우 10, Windows Defender 끄기  (2) 2017.11.01